와우들과 함께하는 ‘교양인은 무엇을 공부하는가’ 출간기념회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March 3 No Comments
우리는 세상의 모든 미덕을 자기 수준에서 이해하고 체험합니다.
‘얄팍한 관계’만 맛본 이들도 우정을 알고 체험했다고 말하고 ‘지상 최고의 친밀함’을 맛본 이도 우정을 알고 체험했다고 말하죠.
January 1 No Comments
2018년 신년회가 끝났다. 11기들이 준비했고 50여 명이 참여했다. 우리는 푸짐한 음식을 즐기며 서로 와인 잔을 부딪쳤다.
January 1 책 No Comments
강력한 책이다. 사유의 깊이와 너비가 비범하기에 그렇다. 감히 선언하자면, 향상심이 강하고 자기 성장을 위해 실제적인 고민과 노력을 해 온 이들에겐 위로와 자극 그리고 달려갈 푯대를 선사하리라. 부연 설명 없이 선언과 명제만 나열되어 있기에 모호하게 읽힐 대목이 많지만, 두어 번 읽어도 이해되지 않을 만큼 난해하진 않다. 내겐 곱씹어 새길 문장이 한 둘이 아니었다. 거듭하여 읽고 싶은 책이 됐다. 사실 두 번째로 읽는 중인데 이런 생각이 스쳐간다. 다시 읽고 싶은 책이 아니라면 대체 한 번은 읽을 필요가 무어란 말인가!
December 12 No Comments
첫째, 고독
“나의 벗이여, 너의 고독 속으로 달아나라! 너는 요란한 위인들의 아우성에 귀가 멀고 소인배들의 가시에 마구 찔려 상처투성이가 되어 있지 않은가.
숲과 바위는 너와 더불어 기품 있게 침묵할 줄을 안다. 다시 한 번 네가 사랑하는, 저 넓게 가지 뻗은 나무처럼 되어라. 나무는 조용히, 그리고 귀를 기울이며 바다로 뻗어 있다.
고독이 멈추는 곳, 그곳에서 시장이 열린다. 시장이 열리는 곳에서 배우들의 소란이 시작되며, 독파리들이 윙윙대기 시작한다.” – 니체/정동호 역,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December 12 신년회 No Comments
November 11 No Comments
당일치기 와우투어를 떠납시다. 한탄강 벼룻길 걷기 여행입니다. 만추의 분위기를 느끼며 절경을 맛보는 코스입니다. 사색하고 대화를 나누며 걷기에 맞춤한 여행길이 될 겁니다.
October 10 No Comments
2017년 10월 26일은 니코스 카잔차키스 서거 60주기가 되는 날입니다.
카잔차키스 마니아로서 가만히 있기가 힘들어 특강을 하나 준비했습니다. 서거 60주기 기념 특강인 셈입니다.
October 10 독서 No Comments
독서는 삶의 성장과 도약을 돕는 강력한 수단입니다.
자기 삶을 사랑하고 독서를 즐긴다면 누구나 더 나은 자기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렉티오(Lectio)는 라틴어로 ‘독서’라는 뜻입니다.
중세 유럽의 수사들에게 렉티오(독서)는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내면세계로 들어가 신의 진리를 깨닫는 수련 과정이었습니다.
책 속의 지식을 활용하는 법과 책읽기로 자기를 경영하는 노하우를 전합니다.
May 5 No Comments
“초등학교 시절 나는 형의 교과서와 소설 따위를 꽤 많이 읽어 경우에 따라서는 당시의 시골 학교 동급생보다 아는 게 훨씬 많았는데도 나 자신은 누구보다 더 안다거나 앞서 있다는 생각을 당초부터 하지 않았다.” 3남 2녀의 막내로 자라난 문학비평가 김병익 선생의 말이다.(『글 뒤에 숨은 글』p.12)
May 5 독서 No Comments
우리는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다. 지구상에 존재하여 이 글을 읽는 ‘사람’이라면 우리는 호모 사피엔스(슬기로운 사람)들이다. 살면서 네안데르탈인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사람들을 만나기는 하지만, 생물학적 관점에서는 그렇다. 책은 작곡가들도 작곡가이기 이전에 호모 사피엔스임을 알린다. (모차르트도 마찬가지다.)
Recent Comments